본문 바로가기
게임/게임리뷰

플레이스테이션의 결정버튼은 왜 X로 바뀌었나?

by yegiahze 2024. 12. 6.
반응형

먼저 이 주장은

제 뇌피셜임을 밝힙니다.

 

 

플스의 버튼 배치는

이전의 알파벳이나

숫자같은 타사와 차별화

하기 위해 도형을 컨셉으로 잡았습니다.

이것은 초대 플스패드 부터

이랬었죠?

 

그렇게 수십년 유지되던

o버튼이 결정,

x가 취소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였습니다.

 

왜냐고요?

그럴려고 저 도형을

썼기 때문입니다.

손가락으로 o모양을 하면서

"오케이"라고 하는것은

서구권에서도 통하는 

전세계적인 사인이며

마찬가지로

두 팔로 엑스자를 그리는 것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플스 패드도

그대로의 뜻으로 배치 되었었죠.

 

그런데 플스4에서 간을 보더니

플스5에서는

전세계적으로

강제로 ox가 뒤집어졌죠?

아니 전세계는 아니고

동양만요.

 

이미 이전부터 플스게임이라도

서구권은 ox의 의미가 반전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왜 동영권,아니

플스의 모국인 일본인들도

서구권에 맞춰

정반대의 버튼 배치를

따라야 하나요?

 

 

저는 그 이유가

판매량에 있다고 봅니다.

 

자국인 일본보다

서구권의 플스 판매량이

훨씬 높으니까

그걸 통일해 버린거죠.

 

거기에 또다른

이유가 있다면

엑스박스겠네요.

한일 양국에선

찾아보기도 힘든

엑스박스.

 

그러나 북미에선 엑스박스 유저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 엑스박스도

플스패드로 치면

x버튼이 결정이고

o버튼이 취소입니다.

 

그러니까 소니가

북미에서 이 버튼만

바꿔버리면

 

버튼이 반대라

플스로 넘어오길 머뭇거리는

엑스박스 유저까지

더 쉽게 뺏어올 수 있게 된거죠.

 

 

그럼 북미만 바꾸면 되지.

왜 동양도 바꾸는데?

 

여기서 소니는

"걍 밀어붙여"를 선택했죠.

 

90년대 처럼

북미판 내수판 구분하고

그런것도 번거롭고

걍 다 바꿔!

를 해버려서 현재에 이르렀다 봅니다.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현재 일본에서 플스5판매량은

스위치와 비교도 안될만큼 적습니다.

거기에 이 요소도 작용했을거라 봅니다.

 

이상 제 뇌피셜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게임 > 게임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널판타지8 제작비화  (3) 2024.12.12
파이널판타지7 제작비화  (2) 2024.12.11
파이널판타지6 제작비화  (1) 2024.12.08
파이널판타지5 제작과정  (0) 2024.12.07